성당포농악 _ 노동계급의 집단 문화활동 대중적 전형으로서 농악의 현재성

작성자
홍조 정
작성일
2021-09-22 19:41
조회
545

성당포농악 _ 전북대학교 농악 풍물굿 연구소 총서 1

허정주 , 김익두 지음 | 민속원 | 2016년 04월 01일 출간



책소개

이 책이 속한 분야

역사/문화 > 민속학 > 풍속/민속학일반

금강 상류의 ‘좌도농악’과 금강 하류 및 그 배후 전북 평야지역의 ‘우도농악’, 그리고 금강 건너 충남 쪽의 ‘웃다리농악’ 등이 금강의 물길을 따라와 이곳에서 만나게 된 결과, 성당포농악은 ‘좌도농악’의 남성적 역동성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거기에 ‘우도농악’의 여성적 세련미를 심화·확장시키고, 아울러 ‘웃다리농악’의 장점들까지도 창조적으로 융합한 독특한 ‘변이’와 ‘차이’를 만들게 되었다.


저자소개

저자 : 허정주

저자 : 김익두



목차


화보

머리말


제1장 자연-인문 환경


제2장 문화적 배경

  1. 순풍당 당제와 당산제
  2. 무제/기우제
  3. 용왕산 농악/풍물굿 축제


제3장 역사와 전승 계보

  1. 역사
  2. 전승계보


제4장 치배·복색 및 기물 구성

  1. 기수
  2. 앞치배
  3. 뒷치배


제5장 내용 구성

  1. 굿가락
  2. 춤동작
  3. 진법
  4. 노래
  5. 연희


제6장 굿의 종류 및 공연방법

  1. 두레굿
  2. 마당밟이굿/걸궁굿
  3. 판굿


제7장 성당포농악의 특징


제8장 성당포농악의 역사적 의의 및 가치


Abstract

참고문헌

성당포농악 단원

성당포농악단 주요 연혁



[온라인 노동자 서점]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82221446


[참고 자료] 국민풍류 농악(국악) 비판

  1. 현장을 떠난 농악은 부르주아적 여흥 수단이다.
  2. 농악이 농촌을 떠나면 직업적 유희가 된다. 국악인은 전문 기량을 갖춘 부르주아적 직업인이다.
  3. 농민문제(또는 노동문제)와 결합하지 않는 농악은 소부르아적 유희를 즐기는 기득권 놀음이다.
  4.  농악이 국악으로 통칭되는 것은 80년대 이후 파시즘의 국악풍류을 계승한 자유주의의 계급성을 반영해서다.
  5. 판소리, 농악을 국민류 당 자유주의세력에게 빼앗기지 않으려면 노동자 민중이 집권을 해야 한다.
  6.  판소리, 농악에다 탈춤, 마당놀이처럼 풍자성과 해악성을 추가하고 계급성을 구현하는 것이 리얼리즘을 추구하는 프롤레타리아의 혁명적 임무이다.
  7.  지금 판소리, 농악 등의 개량적 문화사조를 전면적으로 부정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혁명의 수단으로 개조하기 위해서 고전적 농무, 노동요 , 민요 등의 기원을 과학적으로 밝혀내고, 기교와 기예를 비판적으로 습득해야 한다.
  8.  조선시대 양반 봉건제를 비판한 탈춤, 마당놀이처럼 우리 혁명적 노동운동이 봉건사회 시원 민중예술을 전승, 개조,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혁명적 사고와 프롤레타리아 세계관이 필요하다.
  9. 세계화와 더불어 진척되는 예술에서 유산자화하는 민중예술을 기초부터 전면 부정한다. 이를 개조하고자 한다면 대중예술가들의 개량주의 관점비판 투쟁에 기초하여 프롤레타리아트 주도의 문화혁명이 필요하다.
  10. 지금 농업이 망해가는 것은 남한 사회의 제국주의적 경향성과 내부 식민지 체제 구축때문이다. 노동자계급은 그들의 혁명성을 대중운동 곳곳으로 넓혀나가고, 사회주의로 전진하고자 영속혁명을 이어가야 한다.


전체 0